반응형

2025년 상생페이백은 2024년 대비 소비가 늘어난 국민과 외국인(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환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9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며, 월 최대 10만 원, 총 30만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환급 일정, 유의사항까지 꼼꼼히 정리해 드립니다.


신청 기간과 요일제 적용

2025년 9월 15일(월) 오전 9시부터 11월 30일(일) 자정까지 접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첫 주(9월 15일~19일)는 출생연도 끝자리 5부제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끝자리가 0·5이면 15일, 1·6이면 16일 이런 식으로 신청일이 정해지며, 이후에는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대상 확인하기

만 19세 이상(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내국인과 외국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2024년에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사용한 실적이 있어야 하며, 현금·간편결제 등 카드 외 결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신청 방법과 절차

공식 홈페이지(상생페이백.kr)에서 본인 인증 후 신청 가능합니다. 휴대전화 인증이나 카드정보 입력으로 본인 확인을 진행합니다. 디지털 취약계층은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진흥공단, 주요 은행(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 등)에서 안내와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실제 신청은 반드시 온라인에서 해야 합니다.


환급 방식과 금액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 대비 2025년 9~11월 소비가 늘어난 금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합니다. 월 최대 10만 원, 총 3개월간 최대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상품권은 발급일로부터 5년간 사용 가능하니 넉넉하게 쓸 수 있습니다.


지급 일정과 조회 방법

9월 소비 실적은 10월 15일, 10월 실적은 11월 15일, 11월 실적은 12월 15일에 지급됩니다. 상세 내역은 상생페이백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처와 잔액도 디지털 온누리 앱을 통해 조회 가능합니다.


환급 제외 업종

백화점, 대형마트, 대형병원, 프랜차이즈 직영점, 비대면 결제(키오스크, 테이블오더 등)는 사용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역 상권과 전통시장 중심 소비가 환급 혜택을 늘리는 핵심입니다.


시스템 점검 시간 주의

매일 밤 11시 30분부터 새벽 0시 30분까지는 시스템 점검으로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꼭 이 시간을 피해서 신청해야 합니다.


추가 혜택: 소비 복권 이벤트

9월 15일부터 10월 12일까지 신청한 경우, 상생소비 복권 이벤트에 자동 응모됩니다. 5만 원 사용 시 1장의 응모권이 주어지며, 최대 10장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당첨 시 추가 경품 혜택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상생페이백 지원 창구 정리

구분 지원 내용 비고

온라인 공식 홈페이지 신청 본인 인증 필수
은행 창구 상담 및 신청 지원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등
전통시장 상인회 취약계층 대상 지원 오프라인 안내 전용

핵심 정리

상생페이백은 단순한 소비 환급이 아니라,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제도입니다. 신청은 온라인에서만 가능하고, 3개월간 소비 증가분의 20%를 상품권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기간 내 신청만 잘 챙기면 30만 원까지 환급 혜택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