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 가장 답답한 순간 중 하나는, 열심히 작성한 글이 구글에 노출되지 않을 때입니다.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서 "색인되지 않음" 상태를 확인했다면, 그 이유를 파악하고 빠르게 조치하는 것이 SEO의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 서치콘솔에서 자주 등장하는 색인 제외 사유 3가지와 그에 대한 해결 방법을 쉽게 설명드릴게요.
구글 서치콘솔에서 색인되지 않는 3가지 이유와 해결 방법
✅ 1. ‘NOINDEX’ 태그에 의해 제외되었습니다
이 메시지는 구글이 해당 페이지를 의도적으로 검색 결과에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되었다는 뜻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메타태그가 원인입니다: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
📌 이런 경우가 많아요:
- 사이트 제작 중이라 검색엔진 차단 옵션을 켜둔 경우
- WordPress, Wix, Tistory에서 설정 실수
- SEO 플러그인에서 noindex로 설정한 경우
✅ 해결 방법:
- 해당 페이지가 검색에 노출되어야 한다면, noindex 태그를 삭제하거나,
- CMS(콘텐츠관리시스템) 설정에서 검색엔진 허용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 워드프레스 기준:
설정 > 읽기 > 검색 엔진이 사이트를 크롤링하지 못하게 합니다 체크 해제
✅ 2.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
이 메시지는 구글이 해당 페이지를 중복 콘텐츠로 판단하고,
다른 페이지를 대표(canonical) 페이지로 지정했다는 뜻입니다.
예시:
📌 왜 이런 일이 생길까요?
- 비슷한 내용의 페이지가 여러 개 있는 경우
- 동일한 글이 다른 URL로 복사되어 있는 경우
- CMS가 자동으로 canonical 태그를 지정했을 때
✅ 해결 방법:
- 중복 콘텐츠가 맞다면, 그대로 두셔도 괜찮습니다.
- 하지만 검색에 노출되어야 할 페이지가 제외되었다면, canonical 태그를 수정해서 원하는 페이지가 색인되도록 해야 합니다.
✅ 3. 크롤링됨 -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이 경우는 구글이 해당 페이지를 크롤링(읽기)은 했지만,
아직 색인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 발생합니다.
📌 이런 경우가 많아요:
- 글 내용이 너무 짧거나 부실할 때 (Thin Content)
- 중복성이 높은 콘텐츠
- 내부 링크가 거의 없는 고립된 페이지
- 사이트 전체 평판(Authority)이 낮을 때
✅ 해결 방법:
- 콘텐츠를 더 풍부하고 유익하게 개선하세요.
- 다른 글에서 이 페이지로 내부 링크를 추가해 주세요.
- 구글 서치콘솔에서 해당 URL을 검사 후, 색인 요청을 다시 보내는 것도 좋습니다.
각 문제에 대한 워드프레스 전용 팁
✅ 1. ‘NOINDEX’ 태그 문제 해결 (워드프레스)
확인 방법:
- 워드프레스 관리자 → 설정 > 읽기
- 아래 항목 확인:
- ❌ 검색 엔진이 사이트를 크롤링하지 못하게 합니다 → 이 체크박스가 해제되어 있어야 합니다.
플러그인 사용 중이라면:
- Yoast SEO 또는 Rank Math 사용 시:
- 해당 페이지 편집 화면 → SEO 설정 섹션
- Advanced 탭에서
- “Allow search engines to show this Page in search results?” → Yes로 설정
✅ 2. Canonical 태그로 인한 색인 제외
확인 방법:
- Yoast SEO 또는 Rank Math에서 자동으로 canonical 태그를 설정합니다.
- 해당 페이지 편집 → SEO 설정 → Canonical URL 항목 확인
해결 방법:
- 중복 콘텐츠가 아니라면:
- Canonical URL 필드에 현재 페이지의 URL을 입력해 주세요. 예: https://yourdomain.com/this-page
✅ 3. 크롤링됨 - 색인되지 않음
워드프레스에서 할 수 있는 개선 포인트:
- 글 길이: 최소 500자 이상, 정보성 콘텐츠 포함
- 내부 링크 추가: 관련 글이나 카테고리로 링크 연결
- 제목(H1), 소제목(H2~H3), 키워드 사용도 최적화
- 이미지 alt 태그, 메타 설명 등도 빠짐없이 입력
- SEO 플러그인에서 색인 요청 또는 sitemap 제출
색인 요청 방법:
- Google Search Console 접속
- 상단 검색창에 해당 URL 입력
- “URL 검사” → 색인 요청
✅ Yoast SEO 설정 섹션 보이게 하기 (워드프레스 블록 에디터 기준)
① 글/페이지 편집 화면으로 이동
- 워드프레스 관리자 → 글 > 모든 글 또는 페이지 > 모든 페이지
- 해당 글/페이지 “편집” 클릭
② Yoast SEO 섹션 확인
- 편집 화면을 아래로 쭉 스크롤해 보세요.
- 보통 “Yoast SEO” 또는 “SEO 설정” 섹션이 글 본문 아래에 있어요.
- 여기서 제목(title), 설명(meta description), 색인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어요.
③ 보이지 않는다면? → UI에서 수동으로 활성화
- 편집 화면 오른쪽 상단에서 세 점 메뉴(⁝) 클릭
(편집 화면 우측 상단 모서리 – 톱니바퀴 옆) - "패널" 또는 "설정" → "요약/숨긴 패널" 메뉴 진입
- 아래 목록 중에서
✅ Yoast SEO가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
④ 고전 에디터(Classic Editor) 사용 중일 경우
- 글 본문 하단에 바로 Yoast SEO 박스가 나옵니다.
- 여기서 색인 여부, 타이틀/메타디스크립션, 키워드 설정 가능해요.
🎯 Yoast SEO에서 색인 상태 설정하는 방법
- Yoast SEO 박스 → 고급 탭 클릭
- 아래 항목에서 확인:
- “이 페이지를 검색엔진 결과에 표시하겠습니까?”
✅ **예 (Yes)**로 설정되어 있어야 색인 허용입니다.
✍️ 마무리
검색 노출을 위한 첫걸음은 색인(Indexing)입니다.
색인이 되지 않은 페이지는, 아무리 좋은 콘텐츠라도 사용자에게 닿을 수 없죠.
구글 서치콘솔의 색인 제외 메시지는 단순한 경고가 아닙니다.
콘텐츠의 질, 구조, 설정을 되돌아보는 중요한 힌트가 될 수 있어요.
정기적으로 서치콘솔을 확인하고, 색인 상태를 점검하며
블로그나 사이트의 건강도를 관리해보세요!
반응형